728x90
반응형

◎ NCS 분류
국가직무능력표준의 분류는 직무의 유형(TYPE)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
한국 고용직업분류 (KECO)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'대분류(24개)=> 중분류(81개)=> 소분류(271개)=> 세분류(NCS,1,083개)'의 순으로 구성

◎ 직업기초능력 영역
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도 (예시)
작업기초능력 영역 | 하위 능력 |
의사소통 능력 | 문서이해 능력, 문서작성 능력, 경청 능력, 의사표현 능력, 기초외국어 능력 |
수리 능력 | 기초연산 능력, 기초통계 능력,도표분석 능력, 도표 작성 능력 |
문제해결 능력 | 사고력, 문제처리 능력 |
자기개발 능력 | 자아인식 능력, 자기관리 능력, 경력개발 능력 |
자원관리 능력 | 시간관리 능력, 예산관리 능력, 물적자원 관리 능력, 인적자원 관리 능력 |
대인관계 능력 | 팀웍 능력, 리더쉽 능력, 갈등관리 능력, 협상 능력, 고객서비스 능력 |
정보 능력 | 컴퓨터 활용 능력, 정보처리 능력 |
기술 능력 | 기술이해 능력, 기술선택 능력, 기술적용능력 |
조직이해 능력 | 국제감각, 조직체제 이해능력, 경영이해능력, 업무이해 능력 |
직업 윤리 | 근로윤리, 공동체 윤리 |
◎ NCS 분류 기준
분류 | 하위 능력 |
대분류 | 노동시장 정보와의 연계를 위해 한국고용직업분류(KECO)의 중분류률 차용 |
고용직업분류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산업의 규모가 크거나 이질적인 분야가 존재할 경우, 직능유형에 따라 분리 | |
중분류 | 직능유형에 따라 분류하되, 이를 '수행해야 할 활동'과 '수행의 대상'으로 구분하여 분류 |
중분류 수준에서 자격에 의해 '경력개발'이 가능할 수 있도록 분류 | |
자격관리, 운영의 현장성을 고려하여 산업별인적자원 개발위원해(ISC)관련분야가 존재하는 경우나 유력시 되는 분야는 별도로 분리 | |
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분류하였으며 여러 분류에 중복해서 존재하거나, 특정 분야 내에서 자격종목이 누락되지 않도록 설정 | |
소분류 | 중분류 내에서 이질적인 분야가 존재할 경우 직능유형에 따라 분류 |
중분류 내에서 직종구조분석을 통해서 최신성, 현장성을 유지 | |
자격관리, 운영의 현장성을 고려하여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(ISC)관련 분야가 존재하는 경우나 유력시 되는 분야는 별도로 분리 | |
세분류 | 직종 구조분석을 통해 분류하였으며, 소분류 내에서 이질적인 분야가 존재할 경우 직능유형에 따라 분류 |
한국고용 직업분류의 세세분류를 반영하고, 향후 해당 산업에서 중요하게 부각될 가능성이 높은 직무를 고려 |
● NCS는 아래의 5가지 원칙을 적용하여 분류
① 포괄성(Inclusiveness): NCS 활용도를 고려하여 개발 대상 분야의 직무는 가능한NCS 분류에 모두 포함되어야 함
② 배타성(Exclusion): 동일 수준의 분류 간에는 상호 차별성을 유지하여야 하며,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무는 가능한 하나의 직무로 표현되어야 함
③ 위계성(Hierarchy): 대-중-소-세분류의 수준간 위계적 구조 및 포괄적 관계가 명확하여야 함
④ 계열성(sequence): 동일분류의 직무는 상호내용적 관련성이 있는 것들로 구성되어야 함
⑤ 보편성(Universality): NCS 분류를 구성하는 직업 및 직무는 특수한 것이라기 보다는 보편적인 것으로 구성되어야 함
◎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