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◎ 한국어 능력시험
●시험의 목적
-외국인 구직자의 한국어 구사능력 및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하여 외국인 구직자 명부 작성 시 객관적 선발 기준으로 활용하고 한국에 대한 기본이해를 갖춘 자의 입국을 유도하여 한국에서의 적응력 도모
● 시험 시간
-50분 (듣기 25분/ 읽기 25분)
● 시험 구성
구분 | 평가영역 | 문항수 | 배점 | 시간 |
총계 | 40 | 200 | 50분 | |
읽기 | 어휘어법 실용 자료 정보 독해 |
20 | 100 | 25분 |
듣기 | 소리표기 시각자료 대화나 이야기 |
20 | 100 | 25분 |
● 평가 내용
-한국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
-산업현장에서 필요한 한국어 구사 능력
-한국 기업 문화에 대한 이해
● 응시자격
-만18세이상 39세 이하일 것
-금고 이상의 범죄 경력이 없을 것
-과거 대한민국에서 강제 퇴거, 출국된 경력이 없을 것
-출국에 제한(결격 사유)이 없을 것
● 평가 방법 및 합격자 결정 기준
-평가방법: 상대평가
-합격자 결정기준 ; 업종별 최저 하한 점수 이상 득점자로서, 선발(예정) 인원만큼 성적순으로 합격자 결정
-제조업 200만점에 110점
-소수업 중(건설업, 농축산업, 어업) 200점 만점에 80점
-어업특례 200점만점에 60점
◎ 한국어 능력시험 출제 기분 (읽기 분야)
시험내용 | 1. 한국어 능력 2. 한국문화 이해 3. 산업안전 및 보건 |
||||
읽기 분야 출제 영역 | 사물 및 상황 설명, 한국어의 어휘 및 어법, 실용자료 정보, 설명문 독해 및 산업안전에 관한 안전표지 , 안전사항등 | ||||
검정 방법 | 4지선택형 | 문제수 | 20문제 | 시험시간 | 25분 |
세부영역 | 주요항목 | 세부 항목 |
그림,사진을 보고 맞는 문장을 고르게함으로써 사물 및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 | 사물및 상황설명 (산업안전, 직업관련 내용 포함) |
그림, 사진을 보고 맞는 문장 고르기 |
문장의 내용 이해를 전제로 하여 빈칸에 들어갈 어휘를 고를 수 있는 능력과 문맥에서의 문장 및 어법사용 능력을 평가 | 어휘 미 어법 (산업안전, 직업관련 내용 포함) |
빈칸에 들어갈 어휘 및 문장 고르기 |
일상생활 및 작업환경 속에서 접할 수있는 교통표지, 안내표지, 산업안전표지 등 각종 표지의 의미를 이해하는지를평가(특히 산업안전관련표지판의 이해를 통해 재해 방지) | 실용자료 정보 (산업안전, 직업관련 내용포함) |
-각종 표지판, 안내판에 담겨있는 정보 이해하기 -산업안전 표지판 이해하기 |
구인광고 ,기계 작동법 등의 내용과 일상생활 및 한국문화등에 관한 내용을 읽고 이해하는지를 평가 | 독해 (산업안전, 직업, 한국 문화에 관한 내용 포함) |
-설명문을 읽고 그림고르기 (산업안전 관련그림) -설명문 읽고 답하기 |
◎ 한국어 능력시험 출제기준(듣기 분야)
시험 내용 | 1.한국어 능력 2. 한국문화 이해 3. 산업안전 및 보건 |
||||
듣기 분야 출제 영역 |
단어 및 문장의 소리와 표기, 사진이나 그림등 시각자료에 대한 설명, 대화, 이야기 (산업안전포함) 등을 녹음하여 응시자들이 청취한 내용에 대한 답으로 고르기 |
||||
검정 방법 | 녹음청취 4지 선택형 | 문제수 | 20문제 | 시험시간 | 25분 |
세부영역 | 주요항목 | 세부항목 |
한국어 음운과 문장에서의 연음 관계 및 숫자를 제대로 발음 할 수 있는지를 평가 | 소리와 표기 | -단어 -문장 -숫자 |
사진이나 그림 등의 시각 자료를 이용하여 상황에 맞는 한국어 구사 능력 평가 | 시각 자료 ( 산업안전, 직업관련내용 포함) |
-사진 및 그림에 대한 정확한 설명 고르기 (그림을 보고 맞는 설명을 고르는 문제) -대화 및 문장을 듣고 맞는 그림 고르기 (설명을 듣고 맞는 그림을 고르는 문제) |
실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생동감 있는 대화 상황을 응시자에게 들려주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 (기초적인 이해력 및 대응력 평가) |
대화 ( 산업안전, 직업관련 내용 포함) |
두사람의 대화를 통해 뒤에 이어질 내용 고르기 (인사말, 일상 생활, 직업관련 내용 등) |
두사람의 대화나 이야기를 들려 주고 세부 정보 청취 여부와 전체적인 맥락 이해 여부를 평가 | 대화나 이야기 (산업안전, 직업관련 내용 포함) |
-두사람의 대화를 듣고 그내용 파악하기 -이야기를 듣고 그 내용 파악하기 |
728x90
반응형